전체 글108 [JavaScript] Uncaught TypeError: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(reading 'row') 오류 해결 DataTables에서 cell().data()를 이용하여 화면 상의 데이터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. 기존의 테이블은 페이징이 안된 페이지였고, 이 테이블에서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. 페이징이 된 테이블로 수정하자 1번째 페이지에서는 오류가 없이 실행되었으나 2번째 페이지부터는 Uncaught TypeError: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(reading 'row')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. 원인 페이징이 되면서 2번째 페이지부터는 row index가 다시 0부터 시작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. 예를 들어 기존 테이블에 10개의 데이터가 있을 때 10번째 데이터는 row index가 9입니다. Data Row Index data1 0 data2 1.. 2022. 10. 19. [Oracle] 여러 행 SELECT하여 INSERT 하기 / INSERT INTO SELECT 문 데이터를 INSERT할 때 INSERT문 하나당 한 행의 데이터가 들어갑니다. DB에 많은 데이터를 넣기 위해서 INSERT문을 반복해서 하곤 했습니다. INSERT문 형식 INSERT INTO 테이블명(컬럼1, 컬럼2, ...) VALUES(값1, 값2, ...) SELECT문을 이용하여 여러 행의 데이터를 한 번에 INSERT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 INSERT INTO SELECT문을 이용하면 조회한 모든 행을 한 번에 INSERT할 수 있습니다. INSERT INTO SELECT문 형식 INSERT INTO 테이블명(컬럼1, 컬럼2, ...) SELECT 컬럼1, 컬럼2, ...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주의할 점은 INSERT문과 마찬가지로 컬럼의 개수와 타입을 맞춰줘야 한다는 것.. 2022. 10. 6. [Oracle] 몫, 나머지 구하기 (/, MOD, FLOOR()) / 몫 구하기 오라클에서 몫을 구할 때는 /를 이용하여 나누기 연산을 하여 구합니다. 예시 SELECT 7/3 FROM DUAL--2.33333333333333 SELECT 6/3 FROM DUAL--2 SELECT 16/3 FROM DUAL--5.33333333333333 만약 정수인 몫을 구하고 싶다면 내림 함수인 FLOOR()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. 예시 SELECT FLOOR(7/3) FROM DUAL--2 SELECT FLOOR(16/3) FROM DUAL--5 MOD() 나머지 구하기 나머지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달리 %로 구할 수 없고, MOD() 함수를 이용하여 구합니다. 기본형식 MOD() 함수는 인자가 2개이며,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. 예시 SELECT MOD(7,3) FR.. 2022. 9. 30. [JavaScript/DataTables] Uncaught TypeError: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(reading 'sWidth') 해결 방법 'sWidth' 속성이 정의되지 않았다는 내용의 오류입니다. DataTable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에서 발생했습니다. 원인 DataTables로 데이터를 가져올 때 column 개수보다 (또는 ) 개수가 더 많으면 발생합니다. 해결방법 DataTables의 column 개수와 ()의 개수를 맞춰 줍니다. + 반대로 column 개수보다 개수가 더 적다면 다음 오류가 발생합니다. Uncaught TypeError: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(reading 'style') [JavaScript/DataTables] Uncaught TypeError: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(reading 'style') 해결 방법 'styl.. 2022. 9. 29. [Oracle] 올림 함수 CEIL() / 내림 함수 FLOOR() / 반올림 함수 ROUND() Oracle에서 제공하는 올림, 내림, 반올림 함수가 있습니다. CEIL() 올림 함수 CEIL(n)은 n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중 가장 작은 수를 반환합니다. 다시 말해 n이 정수면 n을 반환하고, 소수면 소수점 첫 번째 자리에서 올림한 정수를 반환합니다. 예시 SELECT CEIL(12) FROM DUAL--12 SELECT CEIL(12.34) FROM DUAL--13 SELECT CEIL(12.78) FROM DUAL--13 FLOOR() 내림 함수 FLOOR(n)는 n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중 가장 큰 수를 반환합니다. 즉 소수점 이하를 버림한 정수를 반환합니다. 예시 SELECT FLOOR(12) FROM DUAL--12 SELECT FLOOR(12.34) FROM DUAL--12 SELECT.. 2022. 9. 29. 이전 1 2 3 4 5 6 7 ··· 22 다음